본 과정은 Kitri 교육 중 제작하였습니다.
실습 목표
- 순환 구조의 LAB 환경에서 만약 지정 Root Switch가 Shutdown일 때, 어떻게 새로운 Root Switch 선출이 되는지 확인
- STP가 적용된 상태에서 Show spanning-tree vlan 1 명령어를 사용하였을 때, 어떤 정보 값이 출력되는가
- 현재 루핑이 돈다고 가정했을 때, 문제원인 파악 및 해결 방안 제시 (전제 조건: P2P방식 X, Shr 상태)
사용 목록
- GNS3 2.2.47 ver
- IOU L2 15.1a Switch
- C7200 Router
사용 기술
- Link type 변경
- Port Fast
- Bridge ID의 Priority값 변경
LAB 환경 구성
필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하였고, Root Switch는 IOU1이 Root Switch로 설정되었다.
아래의 show spanning-tree vlan 1 명령어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있다. 아래 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 참조에서 알아볼 수 있다.
[참조]
https://itjaehyun.tistory.com/35
[네트워크] STP(Spanning Tree Protocol)란?
STP(Spanning Tree Protocol)란? 등장 배경WAN은 회선별로 매월 비용 지불LAN은 링크를 연결하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지 않음특정 스위치나 링크가 다운되어도 대부분의 네트워크가 중단없이 동작,
itjaehyun.tistory.com
다음은 일반 스위치에서 Show spanning-trr vlan 1 명령어를 사용했을 때이다. Root ID의 MAC Address와 Bridge ID의 MAC Address의 값이 다른걸 확인 할 수 있다.
Root Port 선출을 새로 해보자. 첫 번째 방식으로는 Root Switch를 삭제하는 것이다. 아래와 같이 Root Switch를 삭제해보자. 삭제 후 새로 Root Switch를 선정하는것을 확인해보자
필자는 IOU2가 Root Switch로 변경되었다. show spanning-tree vlan 1 명령어로 확인이 가능하다.
임의로 Root switch 변경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여 우선 순위를 조정한다. Priority 값 + MAC Address 구성을 통해 낮으면 Root Switch가 선정이 되는데, 임의로 Priority 값을 낮춰준다.
Priority값 임의 설정 Configuration
IOU3#conf t
# 설정모드로 진입
IOU3(config-if)#spanning-tree vlan 1 priority 4096
#특정 VLAN(위 명령어에선 VLAN 1)의 STP 우선 순위를 4096으로 설정
IOU3(config-if)#end
#종료
STP 브리지 우선순위 조정 시 이더스위치 모듈에서는 0-65535 사이의 아무 값이나 사용할 수 있으나, 카탈리스트 스위치는 4096의 배수를 사용해야함
위와 같이 Root Switch가 임의로 변경되었다.
쿠키
포트 패스트 설정
필자는 e2/1에 포트패스트를 설정해 보았다. 다음과 같은 경고 메세지가 표시되는데, 설정된 포트를 비활성화시켰다가 다시 활성화를 해보자
Port Fast 설정 Configuration
IOU3#conf t
# 설정모드로 진입
IOU3(config)#int e2/1
# Interface Ethernet 2/1 설정을 변경
IOU3(config-if)#spanning-tree portfast
# 선택된 인터페이스에 대해 "portfast"를 활성화. 인터페이스가 바로 사용 가능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여 네트워크 구성 시간을 단축시킴
포트를 비활성화 시켰다가 다시 활성화를 할 시 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나온다.
- 인터페이스를 셧다운시키면 차단 상태
-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면 '차단 상태에서 바로 전송 상태로 변경한다'는 메세지 표시
문제 원인
위와 같은 방식으로 토폴로지를 구성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이있을까?
첫 번째로는 브로드캐스트 스톰이다. 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것은 링 방식의 Topology를 구성하였고, 중복 토폴로지 사용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스톰을 확인하기 위해 패킷을 확인해보자.
두 번째로 Shared 방식이다. Shared 방식을 사용하였을 때 여러 장치가 동일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공유하기 때문에 같은 채널을 사용해 충돌이 날 수 있다.
해결방안
첫 번째로 버스형 토폴로지를 사용하는 것이다. 중복 토폴로지를 줄임으로써 브로드캐스트 스톰이 일어나지 않도록 만들어 주는것이다.
두 번째로 Shared 방식을 P2P로 변경하는것이다. 변경 방식은 아래와 같다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여 link-type을 P2P로 설정한다.
이후 sh spanning-tree vlan 1 명령어를 사용하여 type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해보자
스위치 Link-Type을 변경하는 Configuration
IOU2#conf t
#configuration mode(설정 모드)로 진입
IOU2(config)#int e1/1
#interface Ethernet 1/1를 지칭하는 명령어. 이 명령어는 네트워크 장비의 포트를 의미
IOU2(config-if)#spanning-tree link-type point-to-point
#Spanning-Tree Protocol 설정에서 사용, 해당 인터페이스에 Point-to-Point 링크로 설정 (루프 방지를 위해 사용)
IOU2(config-if)#int e1/2
#interface Ethernet 1/2를 지칭하는 명령어. 이 명령어는 네트워크 장비의 포트를 의미
IOU2(config-if)#spanning-tree link-type point-to-point
#Spanning-Tree Protocol 설정에서 사용, 해당 인터페이스에 Point-to-Point 링크로 설정 (루프 방지를 위해 사용)
IOU2(config-if)#int e1/3
#interface Ethernet 1/3를 지칭하는 명령어. 이 명령어는 네트워크 장비의 포트를 의미
IOU2(config-if)#spanning-tree link-type point-to-point
#Spanning-Tree Protocol 설정에서 사용, 해당 인터페이스에 Point-to-Point 링크로 설정 (루프 방지를 위해 사용)
IOU2(config-if)#end
#종료
실습환경에선 스위치 및 라우터가 몇개 없기 때문에 가능한 이야기지만 실제 환경에서는 대규모 네트워크 및 매쉬형이기 때문에 위와 같은 해결책을 사용한다고해서 해결되진 않는다. 하지만 가능한 해결책을 적용하고 실제로 조치가 가능한지를 확인해보았다.
'Switch >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위치] VTP 실습 (4) | 2024.06.13 |
---|---|
[스위치] Switch 기본 실습 (0) | 2024.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