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ing/Dynamic3 [Routing] OSPF(Open Shortest Path First)란?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개요*Link - State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Dynamic Routing ProtocolLink - State를 확인하여 최단의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을 통해 확인된 최단 경로를 바탕으로 Packet을 전달주로 중-대규모 네트워크를 구성할때 많이 사용 *Link - State : 최소 비용 기준의 알고리즘(Algorithm) OSPF의 특징*AREA 개념을 사용해 빠른 업데이트와 Routing Table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VLSM을 지원하며, 여러개의 Routing 경로를 하나로 묶어준다.OSPF AREA 정보는 OSPF Hello Packet에 포함되어 전달되며 AREA 정보가 다를 시 Neighbor 관계 맺지 못함각 구역이 설정을.. 2024. 4. 4. [Routing] EIGRP(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란? EIGRP(Enhanced Interiror Gateway Routing Protocol) 개요Distance Vector + Link State의 기능이 합쳐져 Hybrid 기반으로 개발된 동적 라우팅 알고리즘이다. IGRP(Interiror Gateway Routing Protocol)의 기능을 발전시킨 라우팅 프로토콜 Cisco사 전용 프로토콜이다.*Dual(Diffusing Update Algorithm)을 수행, 인접한 라우터와 *neighbor 관계를 구성, 최적의 경로를 산출해낸다.대역폭을 제한한다. EIGRP Packet 같은 경우 대역이 50%까지 사용가능하다. (50% 이상시 과부하가 걸림)AS(Autonomous System) 단위로 구분됨*AD값은 내부(Internal) 90, 외부.. 2024. 4. 3. [Routing]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이란 ?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개요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s 의 기반으로 개발된 동적 라우팅 알고리즘이다.거리와 방향에 따라 목적하는 네트워크나 호스트의 위치를 결정한다. (Router끼리 Network 방향과 거리에 관한 정보를 교환한다.)자신이 알게된 목적지 네트워크와 *Metric을 인접 라우터에게 알려준다. (광고)전체 네트워크 포폴로지를 알수 없다. 예를 들어 "대략 어떤 라우터를 경유하면 목적지 네트워크까지 빠르게 도달할 수 있을까?"Hop count가 가장 적은 경로로 라우팅한다.모든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은 *스플릿 호라이즌과 *자동축약규칙이 적용된다.* Metric : 목적지로 가는 경로가.. 2024. 3. 3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