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P2

[스위치] STP 실습 본 과정은 Kitri 교육 중 제작하였습니다.  실습 목표순환 구조의 LAB 환경에서 만약 지정 Root Switch가 Shutdown일 때, 어떻게 새로운 Root Switch 선출이 되는지 확인STP가 적용된 상태에서 Show spanning-tree vlan 1 명령어를 사용하였을 때, 어떤 정보 값이 출력되는가현재 루핑이 돈다고 가정했을 때, 문제원인 파악 및 해결 방안 제시 (전제 조건: P2P방식 X, Shr 상태)사용 목록GNS3 2.2.47 verIOU L2 15.1a SwitchC7200 Router사용 기술Link type 변경Port FastBridge ID의 Priority값 변경LAB 환경 구성필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하였고, Root Switch는 IOU1이 Root Switch로.. 2024. 6. 18.
[스위치] STP(Spanning Tree Protocol)란? STP(Spanning Tree Protocol)란? 등장 배경WAN은 회선별로 매월 비용 지불LAN은 링크를 연결하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지 않음특정 스위치나 링크가 다운되어도 대부분의 네트워크가 중단없이 동작, 트래픽 분산시켜 네트워크 성능 향상*이더넷 프레임 루프발생이중화 경로 구성의 문제점(브로드캐스트 스톰, 중복 프레임 수신, MAC Address Table 불완전 현상)이 발생해결방안으로 STP가 탄생함이더넷 프레임 루프IP의 TTL(time to live)에 해당하는 필드가 존재하지 않음루프 발생시 인위적으로 끊어주지 않으면 중단되지 않음브로드캐스트나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발생해 장비의 CPU 사용률을 증가시킴중복 토폴로지(Redundant Topology) 사용 문제점Broadcast st.. 2024.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