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rver16

[Server] DNS(Domain Name System)란? DNS(Domain Name System)란? DNS의 개요사용자가 숫자로 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대신 인터넷 도메인 이름과 검색 가능한 URL을 사용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하는것을 가능하게 한다. www.naver.com은 도메인 이름 125.209.222.141는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DNS를 운영하는 서버를 Name Server라 칭한다.DNS의 특징DNS는 Domain Name과 IP Address를 서로 변환하는 역활포트는 일반적으로 UDP 53번 Port를 사용, Packet의 크기가 512bytes를 초과 혹은 기타 특수한 경우는 TCP 53번 Port를 사용한다.주 DNS와 보조 DNS를 가지며, 주 DNS에 문제가 생기면 보조 DNS가 퀴리를 한다.DNS 서버에 질의하면 돌아오는 응답은 Au.. 2024. 4. 14.
[Server] Samba Server 구축 Samba Server 구축사용OS: Ubuntu 20.04 본 내용은 '이것이 리눅스 우분투다' 를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1. C드라이브에 smbShare 라는 폴더를 만든다. (WinClient) 만든 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 후 [속성] 선택. [공유] 탭에서 를 클릭하고 'everyone' 사용자를 추가한다.[사용 권한 수준]을 '읽기/쓰기'로 설정 후 를 클릭 2. 리눅스에서 접근을 허용하려면 리눅스의 사용자를 추가하고 비밀번호를 지정해줘야함 (WinClient) 'net user root 0520 /add' 명렁어로 root 사용자를 만들고 암호를 0520로 지정해주었다. 이후 ipconfig 명령을 입력해 Windows의 IP 주소를 확인 3. WinClient에서 공유한 폴더.. 2024. 4. 12.
[Server] NFS Server 구축 NFS Server 구축사용OS: Ubuntu 22.04 본 내용은 '이것이 리눅스 우분투다' 를 참고하여 제작하였습니다. VMware 환경에서 ubuntu 2대와 win 7 1대를 사용하여 NFS Server를 구축해보겠다. 1. NFS Server 패키지 설치한다. (Server) 2. gedit /etc/exports file에 다음 내용을 입력해 공유할 디렉터리를 추가한 후 저장후 닫는다. (Server) 3. share 디렉터리를 생성 후 chmod 명령으로 share 디렉터리의 접근 권한을 707로 변경. (Server) 4. NFS-Server 서비스를 시작 및 상시 가동 (Server) 5. NFS - common 패키지 설치 (Client) 6. NFS 서버에 공유된 디렉터리 확인 및 서.. 2024. 4. 12.
[보안] 암호학(Cryptology) 개론 암호학(Cryptology) 개념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수학적, 언어학적인 방법을 다루는 학문비밀키 암호화 기법, 공개키 암호화 기법이 존재한다.단방향과 양방향 암호화가 존재한다.용어- 평문 (cleartext = plaintext)정보(Data)를 가지고 있는 원본- 암호문 (ciphertext)내용을 제 3자가 판독할 수 없는 글자,숫자,부호 등으로 변형시킨 것- 암호화 (encryption)평문을 암호문으로 변경하는것- 복호화 (decryption)암호문을 평문으로 변경하는것 암호학에서 보안 요구사항 - 기밀성 (Confidentiality)데이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았는가?- 무결성 (Intergrity)데이터를 다른 사람이 불법적으로 변조하지 않았는가?- 사용자 인증 (Authentication).. 2024.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