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9 [네트워크]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란? 개요네트워크 장비 관리 및 감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TCP/IP 계층 중 응용계층에서 이용되는 프로토콜네트워크 장치(라우터, 스위치, 서버, 프린터 등) 간에 정보를 교환함Port Number Manager UDP/162 Agent UDP/161등장 배경1980년대 급격한 인터넷 및 컴퓨터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한 네트워크 관리의 필요성표준화된 관리 프로토콜의 필요성기존 관리 프로토콜의 한계 (복잡성, 비효율성, 표준화 부족)1988년, IAB (인터넷 아키텍처 위원회)의 권장으로 SNMP 초기 개발구성 요소 1. 관리 대상 (Managed Device)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SNMP 에이전트를 실행함ex) 스위치, 라우터, 서버 등.. 2024. 6. 25. [네트워크] IPv6란? IPv6란?개요IPv4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설계된 인터넷 프로토콜차세대 IP(IPng: Internet Protocol Next Generation)에 대한 연구가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진행IPv6(IP version 6, RFC 2460) 탄생등장배경IPv4의 한계IP 주소의 부족다양한 Iot 네트워크 등장취약한 인터넷 보안개선IPv4: 32 bit => IPv6: 128 bit하나의 주소 계층을 여러 계층으로 분할확장헤더를 이용해 종단간 암호화 지원IPv4와 IPv6의 특징 [표 1] IPv6와 IPv4의 특징구분IPv4IPv6주소 길이32 bit128 bit표시 방법8 bit씩 4부분으로 10진수 표시16 bit씩 8부분으로 16진수로 표시주소 .. 2024. 6. 24. [스위치] SPAN(Switch Port Analyzer)란? SPAN(Switch Port Analyzer)란? 개요스위치 특정 포트에 분석장비를 다른 포트의 트래픽을 분석장비로 자동 복사해주는 기술 (port mirroring)네트워크 성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보안 위협 감지네트워크 문제를 진단 및 해결에 도움등장 배경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및 모니터링은 네트워크 성능 최적화 및 보안 유지에 매우 중요네트워크 관리자는 다양한 이유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석해야 할 필요성 인지네트워크 장비로부터 트래픽을 수집하는 방법을 고민SPAN의 등장사용 방법소스 포트: 모니터링하려는 트래픽이 오고 가는 포트. 이 포트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이 복제됨대상 포트: 복제된 트래픽을 수신하는 포트.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모니터링 도구나 패킷 분석기가 연결됨SPAN 설정은 스위치의 관리.. 2024. 6. 21. [네트워크 - 이중화] FHRP(First Hop Redundancy Protocol)란? FHRP(First Hop Redundancy Protocol)란? 개요Gateway 이중화 프로토콜PC나 Server처럼 라우팅 기능이 없는 장비들은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자신과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비들과 통신게이트웨이 역활을 하는 라우터나, L3 스위치를 복수개로 구성하고 하나가 다운되면 다른 하나가 그 역활을 수행FHRP 계열의 프로토콜 HSRP (Hot Standby Router Protocol)시스코에서 개발게이트웨이 역활을 하는 L3 스위치 또는 라우터간에서 동작UDP Port 1985번 사용Hello 주기: 3초/ Hold-Time: 10초 Hot site: 주 사이트가 장애가 발생했을 때 즉시 운영을 인계받을 수 있는 완전한 백업 시설 (즉각적인 가용성, 높은 비용)Cold site: .. 2024. 6. 18. [스위치] STP 실습 본 과정은 Kitri 교육 중 제작하였습니다. 실습 목표순환 구조의 LAB 환경에서 만약 지정 Root Switch가 Shutdown일 때, 어떻게 새로운 Root Switch 선출이 되는지 확인STP가 적용된 상태에서 Show spanning-tree vlan 1 명령어를 사용하였을 때, 어떤 정보 값이 출력되는가현재 루핑이 돈다고 가정했을 때, 문제원인 파악 및 해결 방안 제시 (전제 조건: P2P방식 X, Shr 상태)사용 목록GNS3 2.2.47 verIOU L2 15.1a SwitchC7200 Router사용 기술Link type 변경Port FastBridge ID의 Priority값 변경LAB 환경 구성필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하였고, Root Switch는 IOU1이 Root Switch로.. 2024. 6. 18. [스위치] STP(Spanning Tree Protocol)란? STP(Spanning Tree Protocol)란? 등장 배경WAN은 회선별로 매월 비용 지불LAN은 링크를 연결하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지 않음특정 스위치나 링크가 다운되어도 대부분의 네트워크가 중단없이 동작, 트래픽 분산시켜 네트워크 성능 향상*이더넷 프레임 루프발생이중화 경로 구성의 문제점(브로드캐스트 스톰, 중복 프레임 수신, MAC Address Table 불완전 현상)이 발생해결방안으로 STP가 탄생함이더넷 프레임 루프IP의 TTL(time to live)에 해당하는 필드가 존재하지 않음루프 발생시 인위적으로 끊어주지 않으면 중단되지 않음브로드캐스트나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발생해 장비의 CPU 사용률을 증가시킴중복 토폴로지(Redundant Topology) 사용 문제점Broadcast st.. 2024. 6. 17. 이전 1 2 3 4 5 6 ··· 9 다음